* 교회는 중독자을 도와주는 일에 거의 무기력하게 대처하고 있다.
* 회복의 신학적 의미 -하나님과 우리의 관계 회복!
* 전통적인 소그룹과 회복 그룹이 차이
* 상담적 접근 과 회복적 접근 의 차이
* 은혜를 아는 것과 은혜를 경험적으로 누리는 것은 다르다.
* 이 세상에 하나님의 은혜보다 좋은 것은 없다.
*** 회복, 중독에서 벗어나는 여행 - 학대와 중독
** 중독의 시대, 자기를 들여다 보기
- 아주 고통스러운 아픔을 겪었다고 해서 앞으로 계속 고통 받고 아플 필요는 없다.
실제적인 문제에 대해서 솔직하게 이야기할 수 있는 용기가 회복을 위한 토양이 된다.
- 중독자 왈 - 저처럼 문제 있는 사람들을 위한 교회가 있지 않을까요?
- 사실 우리는 중독과 학대로 가득 찬 생을 살았으면서도, 아무 문제가 없는 사람들 처럼 살았다.
- 학대와 중독은 숨겨진 현상이 아니다. 다만 그 문제에 대해 거론하지 않기로 합의를 본 것뿐이다.
** 중독이 넘치는 세상
- 우리는 교회 지도자들도 마음이 상한 사람들이라는 것을 잊고 있는 시대에 살고 있다.
- 당신이 생활 속에서 자신의 상한 부분을 인식한다면, 예수님께서는 당신을 도와주실 것이다.
- 예수님깨서는 심령이 가난한 자가 복이 있다고 말씀하심으로 상한 사람들에게 축복을 선포하셨다. -- 제1단계
- 우리의 심령이 상해 있을 때, 하나님께서는 우리 안에서 하나님이 일하실 수 있는 가능성과 기회를 보신다.
** 시대를 보는 눈
- 한국말 중국말 영어 스페인어 등등으로 구분하는 문화 - 또는 정치적으로 - 한국 미국 일본 등등
- 중독된 사람들, 학대 받는 사람들, 정신적 외상을 받은 사람들
- 건강한 사람들은 기껏해야 이 지구상에 10퍼센트 내외다.
- 지구의 현실은 중독과 학대, 외상이다. - 우리는 외상, 중독, 학대에 대해 알아야 한다!!!
- 개인적인 차원의 문제를 넘어선, 사회적인 문제다.
- 중독은 이 사회의 지배적인 요인이 되어 여러 사회생활에 영향을 미친다.
-그 문화에서 일어나는 거의 모든 일이 중독과 관련되어 있을 것이다.
- 한 개인의 치유로 한정해서는 안된다. 먼저 가족을 치유하고, 교회, 정부와 여러 사회단체를 치유해야 한다.
- 하나님께서는 치유의 역사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신다.
- 우리도 하나님의 마음으로 이 시대의 현상을 바로 보아야 한다.